Contents

자료공유

공지사항

[현장답사] 서귀포의 생태문화 하논 마르형 분화구를 걷다

2021-08-06 조회수 128993

[취재 스토리]
○ ​​​​​​​5만년 기후변화 정보를 보관한 생태계 타임캡슐의 가치
하논 마르는 제주시 서귀포 호근동 일대에 360여 개의 한라산 오름 중의 하나로 서귀포시 서홍동과 호근동 일대 삼매봉 북쪽지점에 위치한다. 동서방향으로 약 1.8km, 남북방향으로 약 1.3km의 너비를 갖는 타원형 화산체로 분화구의 형태는 원형이며 해발 143.4m이며 높이 88m이다. ​​​​​​​한반도 유일의 마르형 분화구로서 규모 면에서도 단연 한반도 최대 규모의 위용을 자랑한다.
하논은 마르형 응회환의 화구 바닥을 가리키는데, 평탄하고 용천수가 나와 현재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마르란 화구의 규모에 비해 화구륜, 다시 말해 분화구 외륜산의 높이가 낮은 화산을 말하며, 수성화산에 의한 폭발성 분화로 만들어졌다.
하논의 마르 퇴적층에는 환경과 기후에 따라 그 특성을 달리하는 다양한 퇴적물이 지속적으로 유입·집적되어 '기후 및 환경 기록보존소'로서의 역할을 한다. ​​​​​​​5만년의 기후변화 정보를 보관한 생태계의 타임캡슐로 불릴 정도로 국내외 학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는 학술가치가 높아 복원을 향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하논 마르와 가까운 곳에는 걸매생태공원이라는 또 다른 생태문화공간이 있어 제주의 자연을 느끼며 너른 한라산의 풍경도 함께 즐길 수 있다.

○ 자원의 역사적 가치
하논 분화구는 지금으로부터 약 35,000~5만 년 전, 수성 분출에 의해 형성되어 분화구 내에 원래 호수나 습지가 형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화구의 면적은 126만 6825㎡이며, 동서 1.8km, 남북 1.3km로 세계적으로 희귀한 마르(Maar)형 분화구이다. 또한 한반도에서 유일한 마르형 분화구이다.
하논 화산체는 제주도의 후기단계 화산 활동사를 대표하는 지질유산의 하나로 국제적 혹은 국가적 수준의 지질학적 가치를 갖는다.
1) 국내에서 유일한 마르형 수성화산체로서 화산지형학적 국가 지질유산이다.
2) 제주도의 응회구-응회환-마르로 이어지는 수성화산체의 지형학적 스펙트럼을 확장함으로써 세계적으로 탁월한 가치를 지닌 제주도 지질유산의 다양성 제고에 기여한다.
3) 분화구 습지퇴적층은 제주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지역의 고식생과 기후변화 연구에 중요한 국제적 수준의 지질유산이다.

○ 자원의 쓰임새
지질학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인위적인 훼손과 개발로 인해 지형과 식생이 변형과 파괴가 되어와 안타깝다. 하논의 지질유산 가치 제고와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해 유산가치와 완전성에 따라 보전을 위한 구역과 친환경적 이용이나 개발이 가능한 구역을 나누어 치밀한 복원과 활용 계획이 차별화하여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유산의 활용은 환경교육, 체험학습, 생태관찰 등의 교육 활동과 지질·생태관광, 하논의 훼손과 복원과정을 담은 문화역사관광, 지역주민의 휴식을 위한 생태공원 조성 등의 자연친화적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주변 지역의 지질유산 및 관광 기반시설과 연계한 지질명소군(지오 클러스터) 지정을 통해 활용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장 스토리]
○ ​​​​​​​하논을 노지문화자원으로 선정한 이유
서귀포시 서홍동에서 가장 뛰어난 전경 여덟 곳인 서홍 8경(제1경 하논, 제2경 솜반천, 제3경 흙담솔, 제4경 앞내먼나무, 제5경 온주감귤나무, 제6경 성당녹나무, 제7경 지장샘, 제8경 들렁모루) 중 하나로 서홍동에 살면서, 그리고 제주올레 7-1코스를 걸으면서 알게 된 하논분화구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선택하게 하게 되었다.

○ 향후 문화도시사업 안에서 활용 방안
현재 대부분의 하논 지역 토지는 논, 감귤과수원, 주택, 숙박시설, 사찰 등으로 이용되고 있어 하논의 지질학적 또는 문화적 가치를 높이면서 친환경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복원을 통해 자연성을 최대한 회복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복원의 과정은 장기적인 계획과 실천이 필요해보이므로 과거 하논의 훼손(개간과 주민거주)과 향후 진행될 복원과정을 스토리텔링하여 향후 문화역사적인 자료로 남기면 좋을 것이다.

<참고자료>
1. 윤석훈, (2019). 「제주도 하논 화산분화구의 지질유산 가치와 활용방안」, 지질학회지, 55(3), pp.353-363.
2. 국립생태원 습지센터, 『세계적으로 희귀한 마르형 분화구, 제주 하논 분화구(하논 습지)』, 20' SNS 기자단
3. 비짓제주, http://artreach.or.kr.

■ 이종은(글ㆍ그림) | 창의문화캠퍼스 제2대학 | 현장답사

썸네일